태국 시장의 매력

태국 시장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입장에서 어떤 특징을 가졌을까요?



한국어 콘텐츠 소비가 가장 높은 국가는 바로 태국입니다.
2023년 한국 콘텐츠 진흥원의 공식 조사에 따르면 한국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와 경쟁력 모두 1위로 선정한 국가가 태국입니다.



태국은 전통적으로 해외 문화에 대해 수백년간 수용적인 배경 아래에서, 같은 아시아권 문화인 한국 문화에 대한 자연스러운 접근 비율이 높습니다.
또한, 중국이나 일본의 콘텐츠와는 달리 국제적인 명성을 가진 음악 (케이팝), 드라마 (시리즈물), 영화, 웹툰, 만화, 패션, 게임, 앱, 웹서비스 등에 대해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공감대 형성이 태국인들의 높은 관심을 이끌어내었다고 판단되고 있습니다.


image12-1 다른 아시아 국가에 비해서 충분한 규모 인구와 경제력 또한 태국의 강점입니다.

thailand_bkk 이를테면 태국은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과 같은 국가에 비해서는 약 2-3배 이상 더 높은 1인당 소득을 기록하며, 방콕으로 한정했을 때는 약 2만불의 1인당 소득이므로 4-5배 가량 더 높은 차이를 나타냅니다.


태국어는 기본적으로 영어와 같은 어순인 SVO를 가졌으나, 어휘의 상당수인 60%는 인도 계열의 언어 (산스크리트어, 팔리어)로부터 차용되었으며 근대적인 어휘들은 남부 중국어 (조주어)의 혼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기본적인 형태의 언어 표현은 문법이 단순하므로 특별한 문법적 규칙없이 구사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태국은 한자문화권 또는 유교문화권이 아니므로, 동아시아의 문화와는 큰 차이점을 가집니다. 이런 점은 한국인이 태국어를 기초 레벨 이상을 이해하는 데에 큰 어려움으로 작용합니다.
성조 언어인 점도 다른 언어 구사자에게 난관일 수 있지만, 정말 결정적인 난관은 원어민이 아니면 이해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변칙적인 존댓법, 변칙적으로 간접적이고 완곡한 의사 표현, 다양한 문화적 배경 아래에서 끊임없이 생겨나는 줄임말과 신조어는 한국인 태국어 구사자에게는 한계점이 큽니다.


SoiBKK는 문화적인 측면과 비즈니스 측면을 아울러서, 태국어의 가치를 기존의 로컬리제이젼 서비스들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태국어 활용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태국 방콕에서 서비스를 결정하였습니다.
태국어는 태국어가 갖고 있는 복합적인 언어 성격과 수백년 간 이어진 고유한 문화적 표현형을 재현하는 데에는 태국 원어민의 참여가 컨텐츠 번역 퀄리티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보통 한국인 태국어 구사자들의 번역을 적용하는 타 업체와 달리, SoiBKK에서는 충분한 영어 구사와 해외 문화의 이해 역량을 갖춘 방콕 거주 원어민을 통해 업계에서 가장 높은 태국어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