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유튜브는 미국의 서비스이며, 영미권의 인터넷 규모는 오래전부터 가장 컸습니다.
활성화 된 유튜브 시청자의 숫자는 힌디어, 타밀어 등을 사용하는 인도인 시청자가 가장 많습니다. 그렇지만 국내 자막 업체 중 인도의 언어를 다루는 경우는 드뭅니다.
2025년 기준으로 인도인 시청자는 1위를 기록했지만, 인도에서 스마트폰 보급이 더뎠던 과거를 생각할 경우 인도계열 언어를 놓치기 쉽습니다.
한국방송프로그램 수출 1위 - 일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9년
한국문화컨텐츠 소비 1위 - 인도
한국국제교류재단 2021년
한국컨텐츠 소비 종합 1위 - 태국
한국콘텐츠진흥원 2023년
하나. 중국에서 유튜브가 서비스조차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숨긴 채로 권장되는 중국어 자막
둘. 한국 컨텐츠라는 특징을 생략하고 한국 컨텐츠 소비가 통계적으로 낮은 언어인 프랑스어 및 스페인어 자막
셋. 같은 아시아에 속하더라도 문화적 배경이 너무 다르거나 소득 수준이 한국의 1/10 정도로 낮아 서로 공감이 힘든 아랍어 및 베트남어 자막
넷. 이미 영어가 법적 공용어이거나 영어 구사 능력이 (홍콩보다 높은) 매우 높은 수준에 해당하는 국가의 말레이시아어 및 독일어 자막
하나. 당연히 영어를 포함하고 태국어를 기본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둘. 유튜브를 전업으로 하거나 본격적인 유튜브 성장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일본어와 힌디어를 추천합니다.
셋. 다양한 국가로부터의 구독자와 반응을 이끌어내려면 러시아어를 추천합니다.
넷. 유튜브 채널의 특징과 성격에 따라 튀르키예어, 인도네시아어, 폴란드어 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